글로벌 공급망 재편이 심화됨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공급망을 안정화 하고, 국내 투자를 확대하고자 해외진출 우리 기업의 유턴을 활성화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 중입니다. 특히 첨단·공급망핵심 기업들을 타겟으로 하여 투자를 유치하고자 합니다.
최근 첨단·공급망핵심 기업의 집중 유치를 위하여 국가전략·첨단전략 기업 대상 보조금 지원한도 확대, 해외사업장 구조조정 요건 면제 대상 기술 범위 추가 등 제도개선을 한 바 있습니다.
첨단·공급망핵심 기업의 유턴 활성화를 위한 정책 아이디어와 현장에서 느끼는 애로사항 등에 대해서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등록일 | 조회수 |
---|---|---|---|
2 | 2025-03-12 | 15 | |
경재활성화
어려운 여건에서 노고가 많으시겠지만 한마디,,, 현제 주택담보 대출에서 원,리금 상환제를 개정전처럼 이자내고 능력이 있을때 원금상환하는 방식으로 전환했을때 경재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
|||
1 | 2025-02-18 | 32 | |
"도시유전" 바이오 디젤 & 항공유(SAF)의 주 원료 UCO (Used Cooking Oil) 확보 방안
❍ 친화경 에너지 혁명 : “튀김부스러기”의 재 발견 Gold Waste ➝ Re Rnergy ❍ 탄소중립 -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늦추기 위해 전 세계는 당사국총회(COP21)에서 2050 탄소 Zero 목표를 설정하고 협약을 맺음. ❍ 바이오디젤 & 항공유(SAF) ⦁정부의 여러 가지 탄소중립 정책 중 한가지 이다. ⦁경유 1kl 바이오디젤로 대체 시 2.95t 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 입증. ⦁서울에서 제주 11,807리터 에 항공유(SAF) 1%만 썩어도 연 16만 톤 의 이산화탄소 저감으로 대기오염을 80% 저감 효과 입증. ❍ 대기오염을 입증 한 근거로, 신재생연료 혼합의무비율 확대 - 바이오디젤은 2002년 0.5% 시범사업을 통해 2007년에는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의무비율을 법률로 도입 2.0%(BD20), 2024년 4.0%에서 2030년 8.0%로 지속적으로 상향 조정하고 있음. - 항공유(SAF)는 UN(국제연합) 산하 국제민항기구(ICAO)는 2050년 까지 바이오 항공유 보급 량을 50%(600만톤) 목표로 하고 있으며, 국내는 2026년 까지 혼합 의무비율을 법률로 제정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 세계 바이오디젤 생산국 1위 대한민국 (2002~2024 생산량 117만t/년) ❍ 국가에서 등완 시 하는 에너지 폐식용유 - 바이오디젤 원료 외국의 수입 원료에 의존 90% (폐식용유 포함) - 국내 식용유 소비량(114만t/년)에 비추어 회수되는 량 20%미만(22만t) - 사라지는 90만t 의 에너지는 어디로 사라지고 있을까?-------------------- - #튀김부스러기(#튀김찌꺼기 #튀김슬러지)에 숨겨진 폐식용유 41.5% (시험성적서) - 국내 튀김업체 30만개에서 발생되는 튀김부스러기 발생 량 (150만t)에서 폐식용 유 확보 량(75만t)을 확보할 수 있으나 등완 시 되고 있음. ❍ 버려지면 환경오염의 주 요인 - 폐식용유 1L를 하천에 방류하면(BOD기준)20만배의 깨끗한 물 필요 함. - 매립의 경우 지하수오염, 토양오염, 대기오염 발생 (출처:폐식용유활용방안) ❍ 음식물류폐기물로 해석된 “튀김부스러기” 100% 자원회수❲지속가능, 순환경제❳ - 에너지 회수 시 발생되는 폐기물 없음 - 액상 에너지 UCO ➝ 바이오디젤, 항공유 주 원료 및 친환경 계면활성제 - 고상 에너지 튀김박 ➝ 단미사료, 화력에너지(4,720kcal), 포장재 바인더 ❍ 음식물류 폐기물 “튀김부스러기” 자원회수 효과 - 음식물폐기물 감량,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확보, 탄소배출권 확보, 일자리 창출 ❙ “군화도 튀기면 맛있다“ 튀김요리는 전 세계가 즐겨하는 음식문화 이다. 선행 조사 결과 전 세계에서 최초로 공론화 하는 사업임이 틀림없다. 대한민국이 선점 해서 외국의 탄소중립에 대한 고민도 없어지고, 에너지위기에 대응하는 신사업이 될 것 이다. |
- 담당부서정보관리담당관
- 담당자정정식 전산사무관
- 연락처044-203-5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