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담당자이경수
- 담당부서
- 연락처044-203-4571
- 등록일2025-02-05
- 조회수44
-
첨부파일
* 아래 내용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산업환경과 김현정 사무관(044-203-4242)에게 문의 바랍니다.
노후 설비 교체를 희망하는 섬유 기업에 정부가 최대 1억 원의 전환자금을 지원합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월 6일부터 국내 섬유업계의 저탄소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2025년도 섬유소재 공정 저탄소화 기반조성사업’ 참여기업을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섬유산업은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 등과 함께 대표적 탄소 다배출 업종으로 원단 제조 및 염색 과정에서 전체 공정의 절반 이상이 배출됩니다.
특히 국내 섬유업계는 10인 미만 영세기업 비중(88.6%)이 높아 저탄소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산업부는 2023년부터 저전력모터, 폐수열교환기 등 저탄소 설비로의 교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올해 부터는 전력량계, 유량계 등 에너지 사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설비까지로 지원 범위를 확대합니다.
중소‧중견기업은 설치 비용의 70%까지, 대기업은 50%까지 각각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 선정 업체는 전문가의 컨설팅을 받을 수 있고 탄소 감축 효과가 상위 30%에 해당할 경우 ‘탄소 감축 확인서’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이 사업과 관련한 자세한 내용은 산업부 홈페이지(www.motie.go.kr)와 한국섬유수출입협회 홈페이지(www.textra.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편, 유럽연합(EU)은 섬유 제품에 대해 오는 2027년 디지털제품여권(DPP) 규제를 도입할 예정입니다. 디지털제품여권은 원료·부품 정보, 탄소발자국, 재생원료 함량 등 제품 공급망 전 과정의 데이터를 디지털화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의무화한 조치입니다.
- 이전글 “코트라 무역관에 ‘헬프데스크’ 즉시 가동”
-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
- 담당부서홍보담당관
- 담당자이경수 주무관
- 연락처044-203-4571